국회시도의정뉴스 기자 |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완주 의원(충남 천안을·3선)이 EBS에서 제작하는 교재가 매년 평균 약 131만부씩 불용하여 폐기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고질적인 문제해결을 위해 목표판매치를 재설정하고 불용처리 전 무상지원 확대 등 추가적인 활용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EBS는 학교 교육의 보완을 위해 학습 강좌를 이용하는 학생들이 강좌 수강에 교재 있는 것이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할 때 제작하고 있으며, 무상지원을 위한 별도의 교재도 제작하고 있다.
판매가 되지 않고 불용처리된 교재는 업체를 선정하여 용량에 따른 단가를 계약하여 폐기를 진행하고 있다.
박완주 의원실이 EBS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제작한 교재 부수 `18년 약 1,427만부, `19년 약 1,366만부, `20년 약 1,497만부, `21년 약 1,508만부 `22년 약 1,307만부로 총 약 7,105만부를 제작해 총 1,048억 원을 지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판매되지 않고 불용처리 되는 교재는 `18년 138.4만부, `19년 `134.1만부, `20년 99.3만부, `21년 105.9만부, `22년 134.8만부로 총 약 657.5만부로 매년 평균 전체 9.2%에 달하는 약 131만부의 교재가 폐기 처리되고 있다.
특히, 불용교재 중 수능 연계교재가 44%에 달했으며, 고교 39%, 초등 12%, 중등 5%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EBS에서 교재 무상지원 신청을 받아 지원하고 있는데, 지난 5년간 매년 평균 약 8.5만명의 학생에게 평균 34.1만권으로 1인당 평균 교재 4권 정도를 무상지원해주고 있다.
박완주 의원은 “지난 5년간 평균 127억 원의 적자경영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용교재 발생으로 인한 예산 낭비가 발생하고 있다.”라며 “불용교재 수익은 평균 약 2.4억 원에 불과해 교재개발비, 인건비 등을 포함하게 되면 더 큰 적자가 발생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박 의원은 “불용교재 문제는 매년 발생하는 고질적인 문제지만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라며“학생 수가 감소되고 있는 만큼 불용교재 부수를 줄이기 위한 목표 제작 부수의 재설정과 무상지원 확대 등 추가적인 활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뉴스출처 : 박완주 의원실]